전기자동차의 생산 규모 10억 원당 고용 유발 효과가 내연기관차에 비해 1명가량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시대를 맞이해 자동차 업계에 들이닥칠 인력 축소 후폭풍을 대비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27일 한국교통연구원의 ‘전기차 전환이 국민경제와 고용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전기차의 고용유발계수는 생산 규모 10억 원당 4.67명으로 나타났다. 5.61명인 내연기관차나 5.58명인 하이브리드차, 5.56명인 자동차 전체 산업 평균보다 낮았다. 전기차가 고용유발계수에서 앞선 것은 수소연료차(4.39명)뿐이었다.
연구원은 한국은행이 공표하는 산업연관표를 사용해 파워트레인별 경제적 가치 유발 계수를 도출했다. 특정 산업의 최종 수요가 10억 원씩 증가할 경우 유발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전기차의 고용 유발 효과가 내연기관차보다 낮은 것은 투입되는 부품 수의 차이 때문이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차에 비해 들어가는 부품 수가 30∼40% 적기 때문에 투입 인력 수가 적다. 반면 하이브리드차의 경우에는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의 특성을 모두 갖추고 있어 상대적으로 투입되는 부품이 많다. 하이브리드차의 고용 유발 효과가 상대적으로 덜 감소되는 이유다. 이에 따라 향후 전기차 보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 관련 부품사들의 고용 인력도 크게 줄어들 수밖에 없게 된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국교통연구원은 “내연기관차의 생산 비중이 축소되면서 자동차 부문의 노동 유발 효과가 다소 약화할 수 있다”면서도 “정부가 배터리 및 전기장비 업종 등에서 국산화를 촉진한다면 전기차 확산에 따른 고용 위축 영향을 연착륙시킬 수 있다”고 했다.
한재희 기자 hee@donga.com
27일 한국교통연구원의 ‘전기차 전환이 국민경제와 고용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전기차의 고용유발계수는 생산 규모 10억 원당 4.67명으로 나타났다. 5.61명인 내연기관차나 5.58명인 하이브리드차, 5.56명인 자동차 전체 산업 평균보다 낮았다. 전기차가 고용유발계수에서 앞선 것은 수소연료차(4.39명)뿐이었다.
연구원은 한국은행이 공표하는 산업연관표를 사용해 파워트레인별 경제적 가치 유발 계수를 도출했다. 특정 산업의 최종 수요가 10억 원씩 증가할 경우 유발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전기차의 고용 유발 효과가 내연기관차보다 낮은 것은 투입되는 부품 수의 차이 때문이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차에 비해 들어가는 부품 수가 30∼40% 적기 때문에 투입 인력 수가 적다. 반면 하이브리드차의 경우에는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의 특성을 모두 갖추고 있어 상대적으로 투입되는 부품이 많다. 하이브리드차의 고용 유발 효과가 상대적으로 덜 감소되는 이유다. 이에 따라 향후 전기차 보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 관련 부품사들의 고용 인력도 크게 줄어들 수밖에 없게 된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국교통연구원은 “내연기관차의 생산 비중이 축소되면서 자동차 부문의 노동 유발 효과가 다소 약화할 수 있다”면서도 “정부가 배터리 및 전기장비 업종 등에서 국산화를 촉진한다면 전기차 확산에 따른 고용 위축 영향을 연착륙시킬 수 있다”고 했다.
한재희 기자 h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