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3위 자동차업체인 둥펑자동차가 소형 상용차를 앞세워 한국에 진출한다. 특히 이번에 들어올 차는 배기량 1,300㏄급의 LPLi 엔진을 탑재돼 개인택배나 배달수요가 많은 자영업자 등을 집중 공략하게 된다.
DFM K07 II 앞모습
둥펑차의 한국 진출에 앞서 국내 언론으로는 처음으로 중국 충칭(中慶)에 있는 둥펑미니오토(DFM)를 방문, 한국 진출 차종을 직접 타봤다. 둥펑미니오토측은 배기량 1,100㏄급과 1,300cc급 CNG 엔진을 탑재한 K시리즈와 고급 소형 승합인 V시리즈, 이외 K시리즈 전기차 버전을 각각 준비했다. 한국에 내보낼 LPLi 엔진은 현재 개발 중이어서 준비하지 못했다.
참고로 둥펑미니오토는 둥펑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인 유안(Yuan)그룹이 각각 50대50 비율로 출자해 지난 2005년 설립한 소형 상용차 전문회사다. 중국 정부의 방침에 따라 둥펑차는 현재 승용차 쪽에서 해외 파트너와 활발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한국기업으로는 기아차가 둥펑위에다기아 합작법인을 운영 중이며, 일본 업체로는 닛산과 토요타도 손을 잡고 있다. 프랑스 푸조와 시트로앵도 둥펑차의 비즈니스 파트너다. 그밖에 둥펑차는 독자 브랜드로 대형 상용차와 관광용 전기차를 생산한다. 지난해 둥펑차 전체 생산대수는 140만 대였으며, 이 가운데 둥펑미니오토의 소형 상용차는 20만 대쯤 된다.
DFM K07 II 옆모습
사실 중국 자동차업체는 그동안 한국에 잘 알려지지 않았다. 중국의 자동차 수요증가율이 워낙 높아 수출할 틈이 없었던 데다 선진 시장 진입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 내수시장은 만들면 무조건 팔리는, 이른바 황금 시장이 된 지 오래 됐다. 지난해 승용차 판매만 900만 대나 되고, 상용차를 포함하면 1,400만 대가 팔렸다. 중국 전문가들은 앞으로 5~10년 사이에 내수 규모가 연간 2,500만 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없어서 못 파는' 중국 자동차업체가 서서히 한국으로 시선을 돌리고 있다. 승용차는 아직 한국에 맞설 단계가 아님을 인정하지만 자영업자들이 주로 쓰는 소형 상용차는 질 좋은 제품을 저렴한 가격에 공급할 수 있다고 본 것. 게다가 그동안 한국처럼 배출가스 기준이 높은 나라에는 진출한 적이 없어 나름 기술력을 평가받는 기회도 될 것으로 기대하는 눈치다. 실제 둥펑미니오토는 유로5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다.
DFM K07 II 뒷모습
▲ 1,300cc급, 체감 성능 무난한 수준
시승은 공장에 마련한 간이 시험코스에서 이뤄졌다. 상용차라는 특성에 따라 자갈길과 요철구간 등으로 이뤄진 매우 짧은 코스다. 아직 한국에 보낼 LPLi 엔진 차종은 개발 중이어서 CNG 엔진차와 전기차를 탔다.
DFM K01 뒷모습
가장 먼저 탄 차종은 7인승 승합 전기차. 마치 한국의 다마스를 보는 것 같은 조그만 실내가 앙증맞다. 주요 공략 대상이 저렴한 소형 상용차를 이용하는 자영업자와 배달업 종사자라는 점에서 장식은 거의 없다. 편의품목도 에어컨과 라디오 등 꼭 필요한 것만 있다.
키를 돌리면 전기가 'ON' 상태로 바뀐다. 수동변속기여서 클러치를 밟고 1단을 넣었다. 클러치가 비교적 무겁다. 가속페달을 밟으면 모터구동 소리가 나면서 차가 움직인다. 전기차여서 구동할 때에는 모터소리뿐이지만 차의 특성상 흡·차음재가 덜 들어간 탓에 소리가 조금 크게 들린다. 하지만 승차감은 좋다. 울퉁불퉁한 요철 구간을 지날 때 피로감이 적다.
전기모터의 출력을 확인하지는 못했지만 언덕을 오를 때 힘이 부족하다. 파워 스티어링이 아니어서 스티어링 휠을 돌릴 때 힘도 많이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로 들어오는 차는 파워 스티어링을 적용한다는 게 DFM의 설명이다. 전기 승합차는 앞으로 국내에 전기차 시장이 활성화 되면 들어올 예정이다. 가정용 220V로 충전하면 6시간이 필요하다.
DFM K07 II 실내
두 번째로는 1,100㏄급 52마력의 CNG 소형 트럭을 탔다. 역시 근거리 배달용으로 적합하다는 생각이다. 딱 필요한 것만 있을 뿐 가격에 영향을 줄 부분은 모두 배제했다. 창문을 여닫는 것도 레버로 돌려야 한다. 하지만 배기량의 한계로 언덕을 오를 때 조금 버거워 한다. 이런 이유로 둥펑모터스코리아는 1,100㏄급을 국내로 들여오지 않는다.
이번에는 1,300㏄급 82마력의 K시리즈 미니밴을 탔다. 한국에 들어올 차종이며 모두 7명이 탑승할 수 있다. 역시 수동변속기 방식이지만 출력이 적은 게 아니어서 주행은 경쾌한 편이다. 요철을 지날 때 승차감도 나쁘지 않다. 작은 미니밴이어서 시트가 조금 비좁지만 공간 자체가 적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다. 물론 한국의 다마스보다는 실내 공간이 크다. 계기판에는 속도계와 회전계, 수온계, 연료계가 있다. 언뜻 보기에 실내 마무리도 깔끔하게 처리돼 있다. 변속기는 수동이다. 클러치가 조금 무겁지만 변속 레버의 조작감은 괜찮은 편이다.
DFM K시리즈 페달
둥펑미니오토의 제품은 중국 내에서도 경제적으로 넉넉하지 못한 서민들이 돈벌이에 나설 때 주로 구입한다. 따라서 가장 큰 무기는 경제성이다. 물론 이는 한국에서도 마찬가지다. 이와 관련, 마지안창 DFM 사장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에게 값싼 차를 공급, 경제적으로 넉넉해지도록 만드는 차가 바로 DFM 제품 개발의 철학"이라며 "한국에서도 서민들이 저렴하게 구입해 돈을 많이 벌도록 해주는 게 목적"이라고 언급했다.
전반적으로 둥펑미니오토 소형 상용차의 품질 수준은 가격에 견주면 괜찮은 편이다. 물론 한국차와 비교하면 여전히 격차는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저렴한 가격이다. 여기저기 이동하면서 떡볶이나 어묵 등을 판매할 때 알맞은 차다. 일정 기간을 운행하되 구입비가 싸고, 연료비가 적게 드는 게 바로 소형 상용차의 경쟁력임을 감안할 때 둥펑미니오토의 제품은 경쟁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점점 비싸지는 국내 소형 상용차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DFM K시리즈 타이어
둥펑미니오토의 국내 수입을 추진하는 둥펑모터스코리아(DFMK)는 소형 상용차의 위치를 GM대우차 '라보'보다는 크고, 현대차 1톤 포터보다 아래급으로 잡는다는 계획이다. 특히 1,700만 원이나 되는 1톤 화물트럭과 비교할 때 가격 경쟁력은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현재 개발하는 LPLi 엔진의 연료효율도 기대보다 높을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둥펑미니오토의 소형 상용차는 가격에서 승부가 날 것으로 보인다.
DFM K시리즈
충칭(중국)=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둥펑차의 한국 진출에 앞서 국내 언론으로는 처음으로 중국 충칭(中慶)에 있는 둥펑미니오토(DFM)를 방문, 한국 진출 차종을 직접 타봤다. 둥펑미니오토측은 배기량 1,100㏄급과 1,300cc급 CNG 엔진을 탑재한 K시리즈와 고급 소형 승합인 V시리즈, 이외 K시리즈 전기차 버전을 각각 준비했다. 한국에 내보낼 LPLi 엔진은 현재 개발 중이어서 준비하지 못했다.
참고로 둥펑미니오토는 둥펑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인 유안(Yuan)그룹이 각각 50대50 비율로 출자해 지난 2005년 설립한 소형 상용차 전문회사다. 중국 정부의 방침에 따라 둥펑차는 현재 승용차 쪽에서 해외 파트너와 활발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한국기업으로는 기아차가 둥펑위에다기아 합작법인을 운영 중이며, 일본 업체로는 닛산과 토요타도 손을 잡고 있다. 프랑스 푸조와 시트로앵도 둥펑차의 비즈니스 파트너다. 그밖에 둥펑차는 독자 브랜드로 대형 상용차와 관광용 전기차를 생산한다. 지난해 둥펑차 전체 생산대수는 140만 대였으며, 이 가운데 둥펑미니오토의 소형 상용차는 20만 대쯤 된다.

사실 중국 자동차업체는 그동안 한국에 잘 알려지지 않았다. 중국의 자동차 수요증가율이 워낙 높아 수출할 틈이 없었던 데다 선진 시장 진입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 내수시장은 만들면 무조건 팔리는, 이른바 황금 시장이 된 지 오래 됐다. 지난해 승용차 판매만 900만 대나 되고, 상용차를 포함하면 1,400만 대가 팔렸다. 중국 전문가들은 앞으로 5~10년 사이에 내수 규모가 연간 2,500만 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없어서 못 파는' 중국 자동차업체가 서서히 한국으로 시선을 돌리고 있다. 승용차는 아직 한국에 맞설 단계가 아님을 인정하지만 자영업자들이 주로 쓰는 소형 상용차는 질 좋은 제품을 저렴한 가격에 공급할 수 있다고 본 것. 게다가 그동안 한국처럼 배출가스 기준이 높은 나라에는 진출한 적이 없어 나름 기술력을 평가받는 기회도 될 것으로 기대하는 눈치다. 실제 둥펑미니오토는 유로5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다.

▲ 1,300cc급, 체감 성능 무난한 수준
시승은 공장에 마련한 간이 시험코스에서 이뤄졌다. 상용차라는 특성에 따라 자갈길과 요철구간 등으로 이뤄진 매우 짧은 코스다. 아직 한국에 보낼 LPLi 엔진 차종은 개발 중이어서 CNG 엔진차와 전기차를 탔다.

가장 먼저 탄 차종은 7인승 승합 전기차. 마치 한국의 다마스를 보는 것 같은 조그만 실내가 앙증맞다. 주요 공략 대상이 저렴한 소형 상용차를 이용하는 자영업자와 배달업 종사자라는 점에서 장식은 거의 없다. 편의품목도 에어컨과 라디오 등 꼭 필요한 것만 있다.
키를 돌리면 전기가 'ON' 상태로 바뀐다. 수동변속기여서 클러치를 밟고 1단을 넣었다. 클러치가 비교적 무겁다. 가속페달을 밟으면 모터구동 소리가 나면서 차가 움직인다. 전기차여서 구동할 때에는 모터소리뿐이지만 차의 특성상 흡·차음재가 덜 들어간 탓에 소리가 조금 크게 들린다. 하지만 승차감은 좋다. 울퉁불퉁한 요철 구간을 지날 때 피로감이 적다.
전기모터의 출력을 확인하지는 못했지만 언덕을 오를 때 힘이 부족하다. 파워 스티어링이 아니어서 스티어링 휠을 돌릴 때 힘도 많이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로 들어오는 차는 파워 스티어링을 적용한다는 게 DFM의 설명이다. 전기 승합차는 앞으로 국내에 전기차 시장이 활성화 되면 들어올 예정이다. 가정용 220V로 충전하면 6시간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는 1,100㏄급 52마력의 CNG 소형 트럭을 탔다. 역시 근거리 배달용으로 적합하다는 생각이다. 딱 필요한 것만 있을 뿐 가격에 영향을 줄 부분은 모두 배제했다. 창문을 여닫는 것도 레버로 돌려야 한다. 하지만 배기량의 한계로 언덕을 오를 때 조금 버거워 한다. 이런 이유로 둥펑모터스코리아는 1,100㏄급을 국내로 들여오지 않는다.
이번에는 1,300㏄급 82마력의 K시리즈 미니밴을 탔다. 한국에 들어올 차종이며 모두 7명이 탑승할 수 있다. 역시 수동변속기 방식이지만 출력이 적은 게 아니어서 주행은 경쾌한 편이다. 요철을 지날 때 승차감도 나쁘지 않다. 작은 미니밴이어서 시트가 조금 비좁지만 공간 자체가 적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다. 물론 한국의 다마스보다는 실내 공간이 크다. 계기판에는 속도계와 회전계, 수온계, 연료계가 있다. 언뜻 보기에 실내 마무리도 깔끔하게 처리돼 있다. 변속기는 수동이다. 클러치가 조금 무겁지만 변속 레버의 조작감은 괜찮은 편이다.

둥펑미니오토의 제품은 중국 내에서도 경제적으로 넉넉하지 못한 서민들이 돈벌이에 나설 때 주로 구입한다. 따라서 가장 큰 무기는 경제성이다. 물론 이는 한국에서도 마찬가지다. 이와 관련, 마지안창 DFM 사장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에게 값싼 차를 공급, 경제적으로 넉넉해지도록 만드는 차가 바로 DFM 제품 개발의 철학"이라며 "한국에서도 서민들이 저렴하게 구입해 돈을 많이 벌도록 해주는 게 목적"이라고 언급했다.
전반적으로 둥펑미니오토 소형 상용차의 품질 수준은 가격에 견주면 괜찮은 편이다. 물론 한국차와 비교하면 여전히 격차는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저렴한 가격이다. 여기저기 이동하면서 떡볶이나 어묵 등을 판매할 때 알맞은 차다. 일정 기간을 운행하되 구입비가 싸고, 연료비가 적게 드는 게 바로 소형 상용차의 경쟁력임을 감안할 때 둥펑미니오토의 제품은 경쟁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점점 비싸지는 국내 소형 상용차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둥펑미니오토의 국내 수입을 추진하는 둥펑모터스코리아(DFMK)는 소형 상용차의 위치를 GM대우차 '라보'보다는 크고, 현대차 1톤 포터보다 아래급으로 잡는다는 계획이다. 특히 1,700만 원이나 되는 1톤 화물트럭과 비교할 때 가격 경쟁력은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현재 개발하는 LPLi 엔진의 연료효율도 기대보다 높을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둥펑미니오토의 소형 상용차는 가격에서 승부가 날 것으로 보인다.

충칭(중국)=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