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최근엔 스타일을 추구하면서도 실용성을 겸비한 문 4개짜리 쿠페가 나오면서 자동차를 형태로 구분하던 기준이 무너지고 있다. 가족과 함께 탈 세단이 필요하지만 멋있는 쿠페 스타일을 버릴 수 없다는 욕망이 고전적인 차량 형태를 섞어버린 것이다.

#현대적이고 아름다운 디자인
CC는 폭스바겐을 대표하는 중형 세단 파사트의 쿠페 버전에서 출발했다. 평범한 5인승 가족형 세단을 4인승 쿠페로 탈바꿈한 것이다. 폭스바겐 수석디자이너인 클라우스 비숍(Klaus Bischoff)이 이끄는 디자인팀은 개발 당시 ‘현상 유지는 곧 퇴보’라는 구호를 내걸고 CC를 만들었다. 출시 이후 독일, 미국, 호주 등 세계 곳곳에서 유수 디자인상을 휩쓸며 스타일을 인정받았다.

지붕은 뒤로 갈수록 낮아져 날렵하고 아름답게 마무리된 대신, 뒷좌석의 머리와 다리 공간은 좁아져 덩치 큰 성인이 장시간 앉아 있기엔 답답할 수 있다. 2명이 탈 수 있는 뒷좌석의 중간을 센터터널이 가로질러 좌우 자리를 완벽하게 갈랐다. 하지만 원래 2인승이던 쿠페 뒷좌석은 승객용이 아닌 화물용 공간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이 정도 공간이라도 감사해야 할 일이다.
#폭스바겐 실용성 중시한 실내
겉모습과 달리 실내는 변화가 크지 않은데, 간결하고 실용성을 중시하는 폭스바겐 고유의 철학을 엿볼 수 있다. 센터페시아에 달린 공조장치는 다이얼과 표시창 디자인을 바꿔 터치감과 시인성을 개선했다. 페이톤에 장착한 아날로그 시계를 그대로 적용해 고급스러움을 더했다. 한국형 3D 내비게이션과 30GB 하드디스크, CD& DVD플레이어, 핸즈프리 등을 지원하는 RNS510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갖췄다.

#민첩한 주행 성능과 코너링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변속기로 꼽히는 폭스바겐 6단 DSG(Direct Shift Gearbox)는 꾸준한 가속에서 최상의 기어변속을 보여줬다. 가속에 맞춰 기어를 민첩하게 바꿔주며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속도를 높여갔다. 하지만 도심 정체구간에서 가속과 감속을 반복하자 기어가 2단, 3단을 정직하게 오가며 변속충격을 일으켰다.

경쾌한 움직임에 어울리게 코너링도 민첩했다. 커브를 지날 때는 운전자가 원하는 대로 정확하게 차를 제어할 수 있었다. 하지만 급한 커브에서 조금 속도를 높이자 뒤쪽이 노면을 꽉 붙잡지 못하고 바깥쪽으로 밀려나가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기존에 시승했던 폭스바겐 자동차와는 전혀 다른 느낌이었다. 나중에 이유를 찾아보니 시승한 모델에 디퍼렌셜 록(XDS) 기능이 빠져 있기 때문이었다.

#낮은(?) 가격 매력, 연비는 단점
CC 2.0 TSI가 가진 가장 큰 단점은 연비다. 신연비 기준으로 복합연비는 10.5km/ℓ(도심 9.0km/ℓ, 고속도로 13.2km/ℓ)이지만 실제로 도심과 고속도로를 320km가량 주행한 뒤 잰 연비는 8km/ℓ내외였다. 최근에는 대형 자동차도 10km/ℓ대 연비를 기록하는 것과 비교하면 아쉬운 수준이다. 하지만 신형 CC는 가격을 인하해 경쟁력을 갖췄다. TSI 모델은 이전보다 720만 원 내린 4390만 원에 판매한다. 디젤엔진에 4륜구동 모델인 2.0 TDI 4모션은 5090만 원, 2륜구동 모델은 4890만 원이다.

조창현 동아닷컴 기자 cch@donga.com▶수퍼카 운전하는 모나코 미녀들이 모여서…
▶스파크, 美서 가장 빨리 팔려나간 車 1위 등극 엑센트는…
▶수입車 업체들, 침수차량 지원 대책 ‘가관’
▶고현정, 방송중 발끈 “이런 미XX” 욕설 일촉즉발
▶강예빈, 소파에 누워 19금 포즈 ‘아찔’
▶앙심 품고 車바퀴 훼손…결과는 피가 ‘철철’
▶쌍용車, 올 가을 英서 코란도 스포츠 출시!
▶김수미, 아들 때리다 감옥갈 뻔? ‘화끈하네…’
▶파사트를 왜 그렇게 싫어할까? 직접 타보니…
▶서인영, 순백 란제리 시스루 드레스에 ‘초토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