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 본사 드라이빙 이벤트 팀의 오프로드 담당 강사가 파견된 이날 행사에는 다양한 도로 조건의 주행코스, 인공장애물코스, 슬라럼, 험로주행 등 각 모델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G클래스부터 GLE, GLC, GLA 등이 투입된 행사에서 벤츠 SUV의 다양한 성능을 경험했다.

이날 다양한 프로그램 중 덕유산 무주리조트 일대에서 국내에 처음 소개된 GLE클래스를 약 1시간 동안 시승할 수 있었다. M클래스의 부분변경 모델로 출시되는 GLE클래스는 내년 1월 국내 출시가 예정됐다. 250d 4메틱(MATIC)과 350d 4메틱의 디젤, 고성능 가솔린엔진의 63 AMG 4메틱 등 총 3개 라인업으로 출시된다.

후면부는 1997년 1세대 M클래스부터 고수해온 사선으로 떨어지는 C필러 디자인을 적용했다. 전통을 이어가면서도 S클래스를 연상시키는 후미등과 차체를 더욱 넓어 보이게 하는 범퍼 및 트렁크 디자인이 채택됐다. 특히 후미등과 범퍼, 크롬라인으로 연결된 뒷 모습은 철저한 비례를 유지한 채 후면부 디자인을 완성했다.

다만 내년 1월 함께 선보일 신차 GLC클래스와 비교해 대시보드와 센터페시아 디자인에서 젊고 세련된 맛이 부족하고 이전 모델과 비교할 때 크게 차별화되지 않아 아쉽다.

시승차는 250d 4메틱 모델로 2143cc 배기량에 직렬 4기통 신형 디젤엔진을 탑재해 유로6 환경기준을 만족시켰다. 최고출력은 204마력, 최대토크는 51.0kg.m으로 GLE클래스 라인업 중 가장 낮은 힘을 발휘했지만, 동급 경쟁 모델과 비교해 부족함 없는 성능이 특징이다.
이날 시승은 덕유산 일대 국도에서 진행됐다. 직선로도 있었지만, 좌우로 심하게 꺾이는 곡선주로와 고갯길이 많이 포함됐다. 먼저 1시간 정도의 짧은 시승에서 GLE클래스는 디젤엔진이라 믿기 힘든 높은 수준의 NVH(Noise, Vibration, Harshness)와 서스펜션의 부드러운 반응을 보여줬다. 덕분에 마치 E클래스 세단을 운전하는 것 같은 안락함이 느껴진다. 특히 좌우로 굽이치는 곡선코스에서 SUV 특유의 쏠림현상은 적고 부드럽게 세팅된 9단 자동변속기는 변속 타이밍을 좀처럼 알아챌 수 없을 정도로 부드럽게 작동했다.


전 세계에서 160만대 이상 팔리며 벤츠 SUV를 대표하던 M클래스의 후속작 GLE클래스가 내년에 어느 정도 활약할지 벌써부터 기대가 모아진다.
김훈기 동아닷컴 기자 hoon149@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