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美 “EV충전기 50만대 깔 것” 獨 “고속도 거점마다 설치”

변종국 기자 , 이건혁 기자
입력 2023-05-05 03:00:00업데이트 2023-05-08 17:21:04
전기자동차 산업에서 펼쳐지는 치열한 전쟁은 비단 자동차 제조업에서뿐만이 아니다. 전기차 시장 확대를 위한 전제조건인 인프라 측면에서도 각국은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다. 세계 최대 자동차시장 미국과 유럽 넘버 원 자동차산업을 보유한 독일이 대표적이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올해 2월 대대적인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전략을 발표했다. ‘접근성과 신뢰성, 편리성을 갖춘 사용자 친화적인 전기차(EV) 충전 네트워크’를 갖추는 데 75억 달러(약 10조 원)를 투자한다는 게 핵심이다.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미국산 및 미국산 부품을 탑재한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지급하는 내용을 포함시키더니 전기차 인프라를 확충해 진정한 전기차 대국이 되겠다는 것이다.

미 정부가 인프라 구축에 시동을 거는 건 미국 제조업을 부흥시키겠다는 ‘메이드 인 아메리카’ 정책의 연장이다.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EV 네트워크 구축을 가속화하면서 전기차 관련 제조업의 성장을 촉진한다는 전략이 깔려 있다. 특히 새로운 전기차 충전 관련 기술 표준을 제시함으로써 인프라 측면에서도 세계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의도다.

바이든 정부는 2030년까지 사용자 친화적인 EV 충전기 50만 대를 전국에 깔겠다는 목표다. 주요 고속도로에 그물망처럼 전기차 충전기를 갖추기로 했다.

전통적인 자동차 강국 독일도 전기차 충전 인프라 보급에 속도를 내고 있다. 4일 독일 연방네트워크청에 따르면 올해 2월 기준 독일 전역의 전기차 충전소는 8만3186개로 1년 전보다 35% 증가했다. 충전 속도 150kWh(킬로와트시) 이상의 고속 충전 설비를 2배로 늘리며 충전 효율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메르세데스벤츠, 폭스바겐 등 독일 주요 자동차 업체가 출자하고 현대자동차그룹도 투자한 초고속 충전 업체 아이오니티는 아우토반(독일의 고속도로) 주요 거점마다 고속 충전기를 설치하고 있다. 아울러 지난해 독일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이 48.3%로 올라가며 전력망 안정성이 떨어지자 독일 전기차 충전 사업자들은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적극 활용하는 등 전기차 충전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변종국 기자 bjk@donga.com
이건혁 기자 gu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