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까지 2년째 마이너스였던 수출을 플러스로 전환시킨다는 목표도 세웠다. 한 해 1000만 달러 이상을 수출하는 80개 소비재 기업을 집중적으로 지원해 글로벌 매출 1조 원을 올릴 브랜드를 5개 만들기로 했다. 또 수출 바우처 제도를 신설해 기업이 원하는 수출 지원사업과 기관을 선택하게 할 방침이다.
강력한 보호무역주의를 예고한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결정 등으로 얼어붙은 통상환경도 개선해 나가기로 했다. 하지만 이를 실천할 구체적인 행동계획은 마련하지 않아 공수표가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미래 먹거리 산업에 대한 투자도 강화한다. 전기자동차와 자율주행차 등 12대 신산업에 민관 합동으로 17조 원을 투자해 일자리 3만 개를 창출하기로 했다. 그 대신 구조조정이 필요한 업종은 사업 재편에 나설 수 있도록 고삐를 죄기로 했다. 산업부는 철강, 석유화학 등 공급과잉 업종에는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을 적용해 올해 40건 이상의 사업 재편을 추진하기로 했다.
세종=신민기 기자 mink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