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차 거래 전 시장의 적정 가격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가 3월 시작된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17일 서울 영등포구 현대캐피탈 본사에서 현대캐피탈, 서울대 산학협력단과 ‘중고차 시세모형 개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해당 차량 번호를 입력하면 현재와 1년 후 시세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개발돼 3월 일반에 공개된다. 공단이 보유하고 있는 자동차 등록정보 등 빅데이터를 딥러닝(심층 기계학습) 기반 인공지능(AI)이 분석해 제공한다. 서울대가 AI 개발을 맡았다. 현대캐피탈은 중고차 실거래 자료를 제공한다.
공단은 서비스가 시작되면 중고차 거래의 시장 투명성을 높이고 관련 산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비스는 공단과 현대캐피탈 홈페이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에서 활용토록 할 방침이다. 앞으로 정비이력과 성능상태 점검 정보, 사고 및 침수 이력도 함께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강동수 한국교통안전공단 교통안전연구개발원장은 “중고차 거래는 판매자에 비해 구매자의 정보가 적어 소비자 피해가 끊이지 않았다. 이번 MOU로 시장 투명성이 높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형석 기자 skytree08@donga.com
한국교통안전공단은 17일 서울 영등포구 현대캐피탈 본사에서 현대캐피탈, 서울대 산학협력단과 ‘중고차 시세모형 개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해당 차량 번호를 입력하면 현재와 1년 후 시세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개발돼 3월 일반에 공개된다. 공단이 보유하고 있는 자동차 등록정보 등 빅데이터를 딥러닝(심층 기계학습) 기반 인공지능(AI)이 분석해 제공한다. 서울대가 AI 개발을 맡았다. 현대캐피탈은 중고차 실거래 자료를 제공한다.
공단은 서비스가 시작되면 중고차 거래의 시장 투명성을 높이고 관련 산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비스는 공단과 현대캐피탈 홈페이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에서 활용토록 할 방침이다. 앞으로 정비이력과 성능상태 점검 정보, 사고 및 침수 이력도 함께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강동수 한국교통안전공단 교통안전연구개발원장은 “중고차 거래는 판매자에 비해 구매자의 정보가 적어 소비자 피해가 끊이지 않았다. 이번 MOU로 시장 투명성이 높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형석 기자 skytree08@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