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아차는 25일 서울 양재동 본사에서 컨퍼런스콜을 갖고 2017년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6622억 원으로 전년(2조4615억 원) 대비 73.1% 급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2009년 이후 약 8년 만에 영업이익 1조 원 선이 무너졌다. 통상임금 판결에 따라 약 1조 원의 비용이 실적에 반영됐기 때문이다. 회사는 통상임금 관련 비용을 제외하면 영업익이 1조5350억 원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 역시 2016년에 비해 37.7% 하락한 수치로 수익성이 가파르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은 53조5357억 원으로 1.6% 성장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4.7%에서 1.2%로 떨어졌다. 경상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조1400억 원, 9680억 원으로 60% 넘게 하락했다.

4분기 실적의 경우 매출액은 0.7% 늘어 13조57억 원으로 기록됐고 영업이익은 43.2% 감소한 3024억 원으로 나타났다. 원화 강세와 고정비 증가가 영업이익 하락에 영향을 줬다고 기아차 측은 설명했다. 분기 차량 판매대수는 20.3% 줄어든 69만9093대로 부진이 이어졌다.
이런 가운데 기아차는 올해 글로벌 시장 판매목표를 내수 52만대를 포함해 총 287만9000대로 잡았다고 전했다. 신차의 경우 K3를 1분기 내 국내 선보이고 플래그십 세단 K9을 출시할 계획이다. 여기에 K5와 스포티지, 카니발 등 주력 모델의 부분변경 모델과 신형 쏘울 등을 선보여 경쟁력 회복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동아닷컴 김민범 기자 mbki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