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9일(현지 시간) 주요 자동차 제조사는 미국 상무부에 ‘무역확장법 232조 수입차 안보영향 조사에 대한 의견서’를 일제히 제출하며 이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현대자동차는 수입 부품 관세 25% 부과 시 미국 생산 비용이 10%가량 늘어난다고 강조했다. 현대차는 의견서에서 “미국에서 팔리는 현대차 절반가량을 현지 생산하는데 생산비가 늘면 차량 가격이 인상되고 결국 판매 감소와 수익성 악화로 이어져 고용을 줄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미국에서 약 2만5000명을 직접 고용, 대리점 통해 4만7000명을 간접 고용하고 있다. 기아자동차도 미 상무부에 제출한 의견서에서 조지아 공장 생산비용이 연간 10%가량 늘어나 판매 감소와 고용 위축이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BMW와 도요타 등도 각각 미국 현지 일자리 감소와 투자 위축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뉴욕타임스 등 주요 외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 카드까지 꺼내며 보호하려고 한 미국 자동차업계마저 수입차 관세에 부정적인 것을 집중 보도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GM은 의견서에 “자동차 관세는 투자 위축, 일자리 감소, 임금 하락 등 부작용으로 이어질 것이다. 수천 달러씩 차 값이 오르면 인상분을 감당하기 어려운 소비자가 GM에 몰린다. 이는 수요 생산 위축으로 이어져 결국 작은(smaller) GM이 될 것”이라고 적었다. GM, 포드, 메르세데스벤츠 등 12개사를 회원으로 두고 있는 자동차제조업연맹은 25% 관세 부과 시 수입차 한 대당 소비자 부담이 평균 5800달러(약 646만 원) 증가한다고 본다. 자동차 생산 감소와 보복관세 등으로 62만4000개의 일자리가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232조 조사가 약 10개월 이상 소요된 철강 관세와 달리 속전속결로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도 3, 4주 이내에 조사를 끝내겠다고 최근 밝힌 바 있다. 국내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이달 중순 상무부 공청회 직후 결론이 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현수 기자 kimh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