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호주의 차량공유(카 셰어링) 기업 카넥스트도어(Car Next Door)에 투자하고 호주 차량공유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
4일 현대차는 카넥스트도어에 상호협력을 위한 전략적 투자를 실시하고, 이르면 2020년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투자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카넥스트도어는 2013년 호주에서 개인이 개인에게 시간 단위로 차를 대여해 주는 개인 간(P2P) 공유 방식의 독특한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인 업체다. 차 소유주가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차를 빌려줄 수 있는 시간을 설정해 놓으면 주변에 차가 필요한 고객을 자동으로 연결해 주는 방식이다. 시드니, 멜버른, 브리즈번, 뉴캐슬 등 호주 4대 도시를 중심으로 가입자 수 6만2000명, 월평균 대여 성사 건수 8000건을 유지하고 있다.
현대차는 카넥스트도어와의 협업을 통해 첨단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카셰어링 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선 고객 차량과 스마트폰을 연결해 주는 ‘현대오토링크(Hyundai Auto Link)’ 앱을 개발하고, 이 앱으로 문을 열고 차량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현대차 소유주와 빌리는 사람은 서로 만나서 키를 주고받지 않아도 차를 빌려주고 빌려 쓸 수 있게 된다. 이 서비스는 2020년 i30와 코나를 시작으로 싼타페, 아이오닉 등 전 차종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현대차는 지난해 10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아이오닉EV를 활용한 카셰어링 서비스를 론칭했고, 올해 1월에는 동남아시아 최대 카헤일링(우버처럼 차량을 호출해 이용하는 서비스) 업체 그랩(GRAB)에 투자를 진행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카헤일링, 카셰어링, 카풀 등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선보이면서 미래 시장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수 기자 kimhs@donga.com
4일 현대차는 카넥스트도어에 상호협력을 위한 전략적 투자를 실시하고, 이르면 2020년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투자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카넥스트도어는 2013년 호주에서 개인이 개인에게 시간 단위로 차를 대여해 주는 개인 간(P2P) 공유 방식의 독특한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인 업체다. 차 소유주가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차를 빌려줄 수 있는 시간을 설정해 놓으면 주변에 차가 필요한 고객을 자동으로 연결해 주는 방식이다. 시드니, 멜버른, 브리즈번, 뉴캐슬 등 호주 4대 도시를 중심으로 가입자 수 6만2000명, 월평균 대여 성사 건수 8000건을 유지하고 있다.
현대차는 카넥스트도어와의 협업을 통해 첨단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카셰어링 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선 고객 차량과 스마트폰을 연결해 주는 ‘현대오토링크(Hyundai Auto Link)’ 앱을 개발하고, 이 앱으로 문을 열고 차량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현대차 소유주와 빌리는 사람은 서로 만나서 키를 주고받지 않아도 차를 빌려주고 빌려 쓸 수 있게 된다. 이 서비스는 2020년 i30와 코나를 시작으로 싼타페, 아이오닉 등 전 차종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현대차는 지난해 10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아이오닉EV를 활용한 카셰어링 서비스를 론칭했고, 올해 1월에는 동남아시아 최대 카헤일링(우버처럼 차량을 호출해 이용하는 서비스) 업체 그랩(GRAB)에 투자를 진행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카헤일링, 카셰어링, 카풀 등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선보이면서 미래 시장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수 기자 kimh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