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존의 반도체를 차량용으로 전환하고 관련 기업의 통관 절차를 간소화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정부는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6차 혁신성장 빅3(미래차·시스템반도체·바이오헬스) 추진회의’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차량용 반도체 단기수급 대응 및 산업역량 강화 전략’을 발표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차량용 반도체는 자동차 산업의 핵심 부품이고 미래차 전환에 따른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미래차 핵심 반도체 기술 개발에 정부 지원을 집중 투입하겠다”라고 밝혔다.
지난해 말부터 벌어진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은 올 들어 전 세계를 강타하며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가장 큰 변수가 되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자동차 수요가 감소하면서 차량용 반도체 생산이 줄었는데, 회복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면서 수요-공급 불일치가 발생한 것이다.
여기에 미국 텍사스 한파, 일본 반도체 공장 화재 등까지 덮치면서 공급 부족이 심화됐다.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 확산으로 자동차에 들어가는 반도체 수가 기존 차 1대당 200∼300개 수준에서 최근 1000개 이상으로 늘어난 것도 수요 증가의 원인이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세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업체들이 국내에 있지만 차량용 반도체는 아직까지 수익성이 낮은 반면 높은 품질이 요구돼 관련 산업 생태계가 제대로 조성돼 있지 않다. 자동차산업협회 관계자는 “국내에서 쓰이는 차량용 반도체의 98%를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전 세계적으로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이 최소 3분기(7∼9월)까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완성차 생산에 차질이 없도록 민관 합동으로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
미래차 핵심이 될 반도체 연구개발(R&D)을 위해 정부는 올해부터 2022년까지 2047억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내년부터 차량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및 에지컴퓨팅 칩, 자율주행 레벨4용 부품 등으로 지원 영역을 확대한다.
단기 대응책으로 정부는 차량용 반도체 부품 관련 통관 절차를 간소화한다. 차량용 반도체 조달을 위해 출입국하는 기업인은 자가 격리 면제를 받을 수 있는 신속 심사 자격을 부여할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내년까지 2047억 원을 투입해 차량용 반도체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기존에 가전, 모바일용 등으로 사용되던 반도체를 차량용으로 전환하는 작업도 돕는다.
세종=구특교 kootg@donga.com / 이상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