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격벽(隔壁) 기술을 적용한 차량용 발광다이오드(LED) 모듈을 출시했다. LED 모듈을 탑재한 지능형 헤드램프를 사용하면 운전 중 상향등으로 인한 눈부심 등의 불편을 줄일 수 있다.
삼성전자는 15일 LED 모듈 ‘픽셀(PixCell) LED’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픽셀 LED는 차량용 지능형 헤드램프에 사용된다. 픽셀 LED를 탑재한 지능형 헤드램프는 전방에서 운행하는 차량이나 반대 차선에서 마주 오는 차량 등의 상황에 따른 헤드램프 점등을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픽셀 LED는 100여 개의 세그먼트(1개의 LED 칩에서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발광 소자의 최소 단위)로 구성돼 있는데 각 세그먼트에 격벽 구조를 적용해 빛 간섭을 최소화했다. 이 같은 구조 덕분에 기존 LED보다 명암비는 3배 향상됐다. 명암비가 향상되면 빛을 비춘 구역과 비추지 않은 구역을 그만큼 명확히 구분할 수 있게 되고 야간주행에 도움을 준다.
또 발광 면적은 일반 지능형 헤드램프용 LED 모듈보다 16분의 1 크기다. 픽셀 LED는 세그먼트에 격벽 구조를 적용했기 때문에 빛을 모아주는 렌즈가 필요하지 않아 광학시스템이나 방열구조 등을 단순하게 설계할 수 있고, 헤드램프 전체 크기도 30∼50%까지 작게 만들 수 있다. 또 픽셀 LED 기반 헤드램프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국가별 도로 법규에 맞게 광원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홍석호 기자 will@donga.com
삼성전자는 15일 LED 모듈 ‘픽셀(PixCell) LED’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픽셀 LED는 차량용 지능형 헤드램프에 사용된다. 픽셀 LED를 탑재한 지능형 헤드램프는 전방에서 운행하는 차량이나 반대 차선에서 마주 오는 차량 등의 상황에 따른 헤드램프 점등을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픽셀 LED는 100여 개의 세그먼트(1개의 LED 칩에서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발광 소자의 최소 단위)로 구성돼 있는데 각 세그먼트에 격벽 구조를 적용해 빛 간섭을 최소화했다. 이 같은 구조 덕분에 기존 LED보다 명암비는 3배 향상됐다. 명암비가 향상되면 빛을 비춘 구역과 비추지 않은 구역을 그만큼 명확히 구분할 수 있게 되고 야간주행에 도움을 준다.
또 발광 면적은 일반 지능형 헤드램프용 LED 모듈보다 16분의 1 크기다. 픽셀 LED는 세그먼트에 격벽 구조를 적용했기 때문에 빛을 모아주는 렌즈가 필요하지 않아 광학시스템이나 방열구조 등을 단순하게 설계할 수 있고, 헤드램프 전체 크기도 30∼50%까지 작게 만들 수 있다. 또 픽셀 LED 기반 헤드램프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국가별 도로 법규에 맞게 광원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홍석호 기자 will@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