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외 자동차 제조사들도 이 시장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자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개발에 진력하고 있다. 하지만 이용자들은 자동차에 기본으로 탑재된 앱보다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익숙하게 쓰던 앱을 사용하려는 성향이 강해 결국 빅테크 기업들이 시장을 장악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IT업계 관계자는 “운전자들은 차량에 탑재된 내비게이션보다 스마트폰의 T맵, 카카오내비, 네이버 지도 등을 더 많이 쓴다”며 “소비자가 어떤 스마트폰을 쓰느냐가 곧 차량용 인포테인먼트를 결정한다는 뜻”이라고 분석했다.
구글은 자율주행 분야 세계 최고의 기술을 보유한 ‘웨이모’와 함께 자동차를 스마트폰처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애플 역시 자체 개발한 차량용 OS와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동차에 콘텐츠 플랫폼을 이식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

IT업계에서는 국내 앱마켓에서 구글이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는 해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구글이 커넥티드카 시장을 일종의 플랫폼으로 바라보고 향후 주도권을 계속 쥐고 가려는 의도”라고 했다. 구글은 이 같은 조치의 배경에 대해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국회에서는 전기통신사업자의 공정한 경쟁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규정한 현행법(전기통신사업법) 위반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양정숙 의원실 관계자는 “방송통신위원회에 실태 조사를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건혁 기자 gu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