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 노조는 4일 발행한 노보에 ‘정년 연장은 곧 대한민국 신규 채용’이라는 슬로건까지 밝혔다. 올해 임·단협에서 반드시 이 안건을 관철시키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더해 신규 고용도 동시에 요구할 예정이다.
현대차 노조가 고용 문제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전기자동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형 자동차 시대가 열리면 생산직이 지금만큼 많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어서다. 업계에서는 미래차 전환으로 생산부문의 필요 인력이 지금보다 20% 정도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전기차의 경우 내연기관차보다 부품이 40%나 덜 들어간다.

현대차 관계자는 “정년 연장은 정부 정책과 연결되는 부분인 데다 젊은 세대의 반발이 있어 현실적으로 어렵다. 미래차 시대를 앞둔 상황에서 생산직 신규 채용도 신중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기본급 인상이나 성과급 등의 안건들도 맞부딪칠 가능성이 높다.
현대차 노조를 달래기 위해 처우 개선을 해주다 보면 R&D 직군에 대한 적절한 보상정책을 만들기 힘들 수 있다. 특히 인력 확보전이 심화하면서 정보기술(IT) 개발자들의 몸값은 하루가 다르게 치솟고 있다. 현대차의 경우 기존 인력들의 이탈마저 우려하는 상황이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IT나 SW 개발자들에게 냉정하게 말해 현대차는 두 번째 선택지”라며 “미래차의 성패는 SW 분야에서 갈릴 텐데 결국 높은 임금과 보상을 제시해야 좋은 인력을 영입할 수 있다”고 했다. 이 때문에 현대차 내부에서는 연구직 및 신사업 분야 직원들의 임금 및 보상 체계를 별도로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현대차의 한 연구직 직원은 “상대적인 소외감 때문에 현대차에서 경력만 쌓고 나가겠다는 젊은 연구원이 많다”며 “노조의 정년 연장 등 고용 관련 요구를 들어주는 대가로 젊은 직원들이 피해를 보지 않을까 벌써부터 걱정하는 분위기”라고도 했다.
현대차의 올해 임·단협은 10일 노사 상견례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협상에 들어간다. 고용 관련 문제에 대해 현대차와 공동 투쟁을 하기로 한 기아 노조도 조만간 임시대의원대회를 열고 올해 임·단협 요구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변종국 기자 bj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