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우크라이나 사태가 EU경제 및 한-EU 교역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EU는 러시아와 경제적 관계가 밀접하고 에너지 수입 의존도도 높아 다른 지역에 비해 부정적 영향이 높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또 한-EU 간 교역구조를 감안하면 한국의 대(對) EU수출은 EU의 내수 둔화 및 공급망 차질 영향을 적지 않게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의 대 EU수출은 최종재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EU의 내수 둔화에 민감한 구조이며, EU산 반도체 제조장비, 자동차·선박 부품은 고품질로 대체가 어려워 EU로부터 수입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우리 산업의 생산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
대 러시아·우크라이나 수출 중단, 부품조달 차질로 인한 자동차 생산감소는 주요 수출품목인 자동차 부품, 배터리 수출 등에는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글로벌 공급망 차질 심화로 EU에서 반도체 제조장비, 자동차·선박 부품의 생산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우리 주력 수출 산업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EU경기 회복세 둔화로 인한 우리 수출의 부정적 효과가 수출 기업경쟁력 약화 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