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쌍용차 영업소에 배포된 사전 계약표에 따르면 토레스는 1.5L 가솔린 엔진에 두 가지 트림(T5, T7)으로 출시된다. 차량가(기본 옵션 기준)는 트림별로 각각 2690만 원과 2990만 원. 최대 출력 170마력(ps)에 친환경 3종 저공해차 인증까지 받았다. 차체는 전장 4685mm에 전폭 1885mm로 기아 스포티지(4660mm, 1865mm)보다 약간 크다.
자동차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호평을 받는 등 토레스는 출시 초반 흥행이 예상되지만, 전문가들은 하이브리드 모델 출시로 이어지는 시간 텀(공백)을 줄이는 게 관건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토레스가 흥행하면 KG그룹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후 현재 본입찰을 앞둔 쌍용차의 재매각 절차에 훈풍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쏘렌토 하이브리드가 SUV 시장을 주도하는 등 소비자들의 친환경·가성비 눈높이에 맞추려면 토레스 하이브리드 모델이 나와줘야 한다”며 “새 인수자의 투자로 차기 모델(친환경) 출시까지 얼마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지가 토레스 인기의 지속 시간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르노코리아는 유럽 시장에서의 선전으로 4월 국내 수출 차량(월간 판매량) 1위에 오른 XM3(1만5727대)의 하이브리드(가솔린+전기) 모델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유럽에서 먼저 출시된 XM3 하이브리드는 연비가 L당 24.4km에 이른다. 더불어 르노코리아는 중국 지리차와 협력해 2024년 신형 SUV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보인다는 방침이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의 국내 5대 완성차 업체의 4월 판매량(내수) 통계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의 합계 판매량(10만9510대)은 전체의 92%에 달한다. 업계 관계자는 “르노·쌍용차·쉐보레(한국지엠)는 SUV 시장 중에서도 현대차그룹과 수입차 업체들의 압도적인 모델이 나오지 않은 준중형과 소형 모델에서 승부를 걸어 반격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