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현대차 노조에 따르면 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차지부가 지난 1일 전 조합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쟁의행위 찬반투표는 찬성률 71.8%로 가결됐다. 이날 찬반투표에는 재적인원 4만6568명 중 4만958(88%)가 참여했다.
이날 중앙노동위원회가 노사 간 이견이 크다고 판단해 ‘조정 중지’ 결정을 내릴 경우 노조는 언제든 합법적 파업에 나설 수 있는 ‘파업권’을 확보하게 된다. 중앙노동위 결정을 기다리고 있는 노조는 5일 1차 쟁의대책회의를 열고 파업 날짜와 형태 등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단협에서 Δ기본급 16만5200원(호봉승급분 제외) 인상 Δ호봉제도 개선 및 이중임금제 폐지 Δ전년도 순이익 30% 성과급 지급 Δ신규인원 충원 및 정년연장 Δ고용안정 Δ해고자 원직 복직 및 가압류 철회 등을 요구하고 있다. 임금 인상이 최대 쟁점인 가운데 미래산업 대비 신공장 건설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사측은 신공장 건설에 대해 “현실성이 떨어진다”며 수용 불가 입장을 밝히는 등 구체적인 일괄제시안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지난해 순이익 30% 성과급 지급 등 수용 범위를 넘어선 요구 사안이 많다는 게 사측의 분위기다.

현대차 노조는 온건, 실리 주의로 평가받은 이상수 전 위원장 재임 기간 동안 파업은 자제하면서도 파업 쟁의권 확보를 무기로 삼아 사측에 노조 의사를 피력해왔다. 현대차가 전임 노조 집행부 시절인 2019~2021년 3년 연속 ‘무분규 타결’에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이다.
올해 현대차 노조 분위기는 확연히 다르다. 전면 파업이 아니라도 부분 파업에 나설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현대차 노조는 강성 집행부가 들어선 2012~2018년 7년 연속 파업을 겪은 바 있다.
자동차업계에서는 지난해부터 이어져온 차량용 반도체 대란 등 글로벌 공급난에 코로나19로 인한 중국 봉쇄, 화물연대 파업까지 이어지며 상반기 현대차의 생산량이 감소한 상황에서 노조의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추가적인 생산손실은 불 보듯 뻔한 상황이라고 지적한다. 현대차의 올해 상반기(1~6월) 글로벌 시장 판매량은 203만1185대로, 전년 대비 7.6% 줄었다. 국내 판매량은 13.4%, 해외 판매량도 6.2% 감소했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현대차 노사간 이견이 상당히 큰 상황으로, 올해 노조 파업 가능성은 여느때보다도 높다”며 “노조 측의 올해 요구안 일부가 수용 범위를 넘어선 측면이 있어 사측 역시 쉽사리 합의에 나서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그는 “노동자 프렌들리 정책을 벌이던 문재인 정부와 달리 윤석열 정부는 노사 균형을 통한 비즈니스 모델 활성화를 추구하고 있고, 자동차 산업 역시 전기차로의 전환 등 산업 패러다임이 급격하게 변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노조는 최근의 환경이 많이 변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