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전기차 배터리 화재징후 감지되면 곧바로 소방차 출동한다

임유나 기자
입력 2025-04-20 14:37:56업데이트 2025-04-20 15:17:13
뉴스1 
전기차 배터리 이상 등 화재 징후가 감지되면 가까운 소방서에서 곧바로 출동하는 신고 체계가 가동된다.

국토교통부는 21일부터 전기자동차 배터리 이상 감지 시 화재 신고 시범사업을 시행한다고 18일 밝혔다. 전기차에서 화재가 의심되는 상황이 생기면 소방당국에 실시간으로 알리는 신고 체계를 만드는 사업이다. 소방청과 한국교통안전공단, 현대차, 기아, BMW코리아가 협업 기관으로 참여한다.

이번 사업은 지난해 8월 인천 청라 전기차 화재 사고를 계기로 정부가 발표한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 조치에 따른 것이다. 전기차 화재 신고 체계는 자동차 제작사가 전기차의 고전압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화재 징후를 감지하면 관할 지역 소방서에 바로 신고하는 방식이다. 자동차 제작사가 전달한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119 소방대원이 출동해 화재를 진압한다. 차량 소유자에게도 통화나 문자로 고전압 배터리 위험 상황이 안내된다.

사업 대상은 현대차와 기아, BMW 전기차 가운데 배터리관리시스템(BMS)에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과 통신 알림 기능이 장착된 차량이다. 또 차량 소유자가 개인 및 위치정보를 소방 관계 기관에 제공하는 데 동의한 경우만 포함된다.

정보 제공 동의 방식은 자동차 제작사마다 다르다. 현대차와 기아는 아이오닉5와 EV6에 설치된 내비게이션으로 관련 내용을 안내하고 차량 소유주의 동의를 받았다. BMW코리아는 전기차를 구매할 때 긴급 상황 시 차량 위치를 공유할 수 있다는 동의를 받는다. 나머지 개인정보 는 고객센터에서 연락해 이번 사업 내용을 설명하고 동의받는 식으로 진행됐다.

국토부에 따르면 이번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차량은 4만 대다. 현대차 1만 대, 기아차 1만 대, BMW 2만 대가 모였다.

시범 기간 동안 수집된 데이터는 소방청과 자동차 제작사의 전기차 화재 현장 대응 매뉴얼 업데이트와 전기차 안전성 국제기준 마련에 활용될 계획이다. 


임유나 기자 imyou@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