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수소전기차 5만대 시대 코앞인데… 서울 충전소 9곳뿐

김재형 기자
입력 2025-04-29 03:00:00업데이트 2025-04-29 03:00:00
5분 충전으로 700km 이상 주행할 수 있는 현대자동차의 수소전기차 ‘디 올 뉴 넥쏘’. 현대자동차 제공5분 충전으로 700km 이상 주행할 수 있는 현대자동차의 수소전기차 ‘디 올 뉴 넥쏘’. 현대자동차 제공
국내 수소전기차 5만 대 시대를 눈앞에 두면서 산업계 전반에서 국가와 지방정부의 체계적인 인프라 지원과 관리 정책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도심 충전 인프라 확충과 수소 공급망의 안정적 관리를 위한 국가적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28일 현대자동차에 따르면 2018년 세계 최초 양산형 승용 수소차 ‘넥쏘’ 출시 이후 올해 3월 말까지 국내 판매된 수소차는 3만9216대로 집계됐다. 넥쏘 출시 2년 만에 누적 판매 1만 대를 돌파했고, 2023년 3만 대를 넘어서는 등 보급이 빠르게 늘고 있다. 국내에서 수소차를 생산하는 브랜드는 현대차가 유일하다.

올해는 신모델 ‘디 올 뉴 넥쏘’ 출시와 함께 정부가 1만3000대 분량의 구매 보조금을 확정하면서 연내 국내 수소차 누적 판매량이 5만 대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이런 시장 성장세와 달리 충전 인프라는 크게 뒤처진다. 한국석유관리원 수소유통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전국 수소충전소는 218곳에 불과하다. 특히나 서울의 경우 충전소가 9곳뿐이다. 서울에 등록된 수소차가 3189대라는 것을 감안하면 354대당 충전소 1곳을 이용하는 셈이다.

충전소 한 곳당 설치비가 30억 원에 달하는 탓에 사업성을 높이려면 공공부문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수소충전소가 도심 내 기피 시설로 여겨지는 점도 난관이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국유지나 공공부지 대부분이 외곽에 있고, 도심 내 설치에는 주민들의 우려가 커 용지 확보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 때문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국유지·공공부지 등 도심 내 유휴 공간을 충전소 용지로 제공하고, 운영사업자에게 세제 혜택을 부여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수소 공급망 안정화도 시급한 과제다. 현재 수소 유통망은 한국석유관리원과 한국가스공사 등 여러 기관이 분산 관리하고, 공급 및 유통 과정에서 민간 참여 비율이 90%를 넘는다. 이에 따라 지역별로 1kg당 수소 가격이 8400원에서 1만5000원까지 큰 차이를 보인다. 한국석유관리원의 한 관계자는 “전기요금과 달리 수소 공급 단가는 생산비와 운송비 등 시장 여건에 따라 결정된다”며 “공공부문에서는 민간사업자의 수소충전소 운반 차량 구매비의 절반가량을 보조금으로 지원하는 등의 방식으로 가격 안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은 2017년 세계 최초로 수소 기본전략을 수립하고 ‘일본 수소충전소네트워크합동회사(JHyM)’를 통해 25개 기업이 충전소 구축·운영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도 각각 에너지부와 국가에너지국이 수소 정책을 총괄하고, 대규모 예산을 투입해 인프라와 공급망을 통합 관리한다.

우리 정부도 관련 제도 정비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올해 1월 수소사업자의 인허가 체계 정비와 공급 계획 등 수소 산업의 체계적 관리와 시장 안정성을 위한 ‘수소 및 수소화합물 사업법’ 제정안이 국회에 발의됐다”며 “법안이 통과되면 공급망 통합 관리와 가격 안정화에 제도적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계 관계자는 “수소전기차가 5만 대를 넘어 대중화 단계에 진입하려면 충전 인프라와 수소 가격 등 총보유비용 관점에서 경쟁력을 높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수소 가치사슬 전 과정에 걸친 국가 차원의 체계적 관리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