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급 중고차만 취급하고 수백 개 항목 점검
19일 경남 양산시에 위치한 현대자동차‧제네시스 ‘인증 중고차 전용 상품화센터’에서 이뤄진 일이다. 인증 중고차란 제조사가 직접 자사 브랜드 중고차를 매입해 차량 상태를 확인한 뒤 정비해 판매하는 것을 말한다. 지난해 3월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위원회가 중고차 판매업을 생계형 적합 업종으로 지정하지 않으면서 대기업도 중고차 시장에 뛰어들 수 있게 됐다. 현대차는 2020년 10월 중고차 시장 진출을 공식화한 지 3년 만인 24일 인증 중고차 사업을 시작한다고 이날 밝혔다. 기아도 25일 서비스 개시를 알리는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현대차와 제네시스는 매입 중고차를 양산과 경기 용인시에 위치한 센터에서 상품성을 끌어올리는 진행한 뒤 판매에 나선다. 현대차는 272개, 제네시스는 287개 항목을 점검한다. 기계로 차량을 완전히 들어 올려 하부에 문제 여부를 살펴보고, 흠집이나 도장이 벗겨진 곳도 확인 후 조치한다. 배터리, 브레이크 패드, 타이어 등은 상태에 따라 교체한다.

●온라인에서 엔진 소리까지 확인 후 구매
100% 온라인 판매로 진행돼 실물을 못 보고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애플리케이션(앱)이나 웹사이트에서 최대한 많은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차량의 냄새 수치, 차량 하부 사진, 타이어 상태, 운전석 시트 정밀 사진, 엔진 소리 등을 모두 온라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차량의 내외부를 360도 가상현실(VR) 카메라로 촬영해 온라인에서도 차량의 전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막상 차를 받아보니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이 눈에 띈다면 3일 내 왕복 탁송비만 지불하고 환불받을 수 있다. 구매 후 4~7일 사이에는 차량 사용료 등을 추가 지불한 뒤 환불 가능하다. 구매 이후 1년, 2만 ㎞까지 무상 보증도 제공된다.
현대차는 연말까지 인증 중고차 판매 5000대를 목표로 잡았다. 2025년 4월까지 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중고차 시장 점유율 4.1%, 2.9%을 목표로 점진적으로 몸집을 키울 계획이다.
다만 가격이 걸림돌이 될 수는 있다. 다른 중고차 플랫폼에서 파는 차량과 모델‧옵션‧연식‧차상태가 비슷한데 인증 중고차가 확연히 비싸면 소비자들이 망설일 수 있어서다.
한재희 기자 h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