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세계 3위 완성차 시장인 인도에서 1분기(1∼3월) 역대 최다 판매를 달성했다.
13일 인도자동차공업협회(SIAM)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는 올해 1분기 총 22만9126대를 판매했다. 직전 최다 기록을 세웠던 전년 동기(22만5686대) 대비 판매량이 1.5% 증가했다. 현대차는 15만3550대를 판매하며 마루티에 이어 브랜드별 판매 순위 2위에 올랐다. 기아는 7만5576대로 6위에 올랐다. 특히 기아는 2019년 8월 인도 진출 이후 분기 기준 최고 실적을 냈다. 양사의 현지 시장 점유율은 현대차 13.0%, 기아 6.4%로 합산 19.4%에 달했다.
이번 판매 호조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이 주도했다. 1분기 현대차와 기아의 SUV 판매량은 18만1758대로 전체 판매의 약 80%를 차지했다. 크레타, 베뉴, 쏘넷, 셀토스 등 SUV 4종의 판매량이 12만1582대로 강세를 보였다.
차종별로는 현대차의 크레타가 4만8449대 팔리며 양사 최고 판매 모델로 자리매김했다. 크레타는 인도 도로 환경에 맞는 높은 차체와 대가족을 위한 넓은 뒷좌석 등 현지 맞춤형 설계가 적용된 현지화 모델로 1분기 인도 내 SUV 판매 1위 모델이 되는 성과를 냈다. 기아 역시 인도에서 처음 개발한 후 글로벌 시장으로 수출되는 현지 맞춤형 모델 쏘넷이 2만2497대 팔리면서 브랜드 내 최다 판매 차종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성과는 현대차그룹이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자동차 시장 중 하나인 인도에서 입지를 다지는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인도 자동차 시장은 2023년 일본을 제치고 중국과 미국에 이어 세계 3위 규모로 올라선 후 지난해까지 ‘글로벌 톱3’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현대차는 인도 시장 공략을 위해 2023년 제너럴모터스(GM)로부터 마하라슈트라주 푸네 소재 공장을 인수했으며 올해 하반기(7∼12월) 가동을 앞두고 있다. 아울러 현대차 인도법인(HMIL)은 지난해 10월 현대차 해외 자회사 중 최초로 인도 증시에 성공적으로 상장하기도 했다.
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
13일 인도자동차공업협회(SIAM)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는 올해 1분기 총 22만9126대를 판매했다. 직전 최다 기록을 세웠던 전년 동기(22만5686대) 대비 판매량이 1.5% 증가했다. 현대차는 15만3550대를 판매하며 마루티에 이어 브랜드별 판매 순위 2위에 올랐다. 기아는 7만5576대로 6위에 올랐다. 특히 기아는 2019년 8월 인도 진출 이후 분기 기준 최고 실적을 냈다. 양사의 현지 시장 점유율은 현대차 13.0%, 기아 6.4%로 합산 19.4%에 달했다.
이번 판매 호조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이 주도했다. 1분기 현대차와 기아의 SUV 판매량은 18만1758대로 전체 판매의 약 80%를 차지했다. 크레타, 베뉴, 쏘넷, 셀토스 등 SUV 4종의 판매량이 12만1582대로 강세를 보였다.
차종별로는 현대차의 크레타가 4만8449대 팔리며 양사 최고 판매 모델로 자리매김했다. 크레타는 인도 도로 환경에 맞는 높은 차체와 대가족을 위한 넓은 뒷좌석 등 현지 맞춤형 설계가 적용된 현지화 모델로 1분기 인도 내 SUV 판매 1위 모델이 되는 성과를 냈다. 기아 역시 인도에서 처음 개발한 후 글로벌 시장으로 수출되는 현지 맞춤형 모델 쏘넷이 2만2497대 팔리면서 브랜드 내 최다 판매 차종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성과는 현대차그룹이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자동차 시장 중 하나인 인도에서 입지를 다지는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인도 자동차 시장은 2023년 일본을 제치고 중국과 미국에 이어 세계 3위 규모로 올라선 후 지난해까지 ‘글로벌 톱3’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현대차는 인도 시장 공략을 위해 2023년 제너럴모터스(GM)로부터 마하라슈트라주 푸네 소재 공장을 인수했으며 올해 하반기(7∼12월) 가동을 앞두고 있다. 아울러 현대차 인도법인(HMIL)은 지난해 10월 현대차 해외 자회사 중 최초로 인도 증시에 성공적으로 상장하기도 했다.
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