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율주행차를 활용해 배달 시스템을 완전 무인화하겠다는 전 세계 물류업계의 최대 고민은 고객의 현관 앞까지 어떻게 물건을 배달하느냐인, 이른바 ‘라스트 마일 딜리버리’였다. 하지만 포드가 공개한 영상에서는 로봇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람이 필요 없는 배송시대가 다가오면서 노동시장의 변화에 대한 기업과 정부의 대응도 불가피해졌다.
○ 사람 대체하는 로봇과 자율주행차
이달 초 세계 최대의 온라인 상거래 업체인 미국 아마존은 7억 달러(약 8250억 원)를 들여 미국 내 직원 10만 명에게 직업 재교육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인공지능(AI)과 로봇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큰 물류 처리, 상품 배송, 일반 관리직 직원을 다른 일자리로 옮기게 하거나 아예 회사를 나가도록 돕겠다는 것이다. 제프 월키 아마존 소비자부문 최고경영자(CEO)도 언론 인터뷰에서 “AI 같은 첨단 기술은 이미 노동시장을 빠르게 바꾸고 있다”고 말했다.
2014년 키바 시스템을 7억7500만 달러에 인수한 아마존은 현재 3만여 대의 키바 로봇을 물류센터에서 활용하고 있다. 키바 로봇들은 바닥에 있는 수많은 바코드를 인식하고 사람에게 필요한 물건을 가져다준다. 로봇이 가져온 제품을 사람들이 그 자리에서 포장하면 되기 때문에 훨씬 효율적으로 일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다양한 크기와 질감의 상품을 행선지별로 분류해 다시 정리하는 등의 작업은 여전히 로봇으로 대체하기 어려운 분야다.
하지만 최근 글로벌 정보기술(IT) 업체들은 이런 문제까지 해결하겠다고 나섰다. 올해 3월 구글은 비정형의 물체를 집어 다른 상자에 던져 넣을 수 있는 이른바 ‘토싱봇’을 개발했다고 자사 블로그에 공개했다. 토싱봇은 스크루 드라이버, 바나나, 탁구공 등 다양한 물건이 들어있는 곳에서 특정 물건을 집어 거리가 떨어진 곳에 있는 박스의 특정 공간에 정확하게 던져 넣을 수 있다. 약 1만 번의 시도를 통해 데이터를 축적하면 80%의 성공률을 보이고 이런 데이터를 계속 축적하면 확률이 단기간에 100% 수준으로 높아진다.
IT업계 관계자는 “다양한 형태의 물건을 집어 정해진 곳에 놓을 수 있는 기술이 상용화되면 물류 산업은 물론이고 마트의 매장 관리, 가정의 세밀한 청소까지 로봇이 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일반인에게 출시 앞둔 ‘로봇 개’
현재 로봇 분야에서 가장 앞선 곳은 미국의 ‘보스턴 다이내믹스’다.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이자 보행 로봇의 아버지로 불리는 마크 레이버트가 창업한 로봇 기업으로 2013년 구글 로봇사업부에 인수됐다가 2015년 일본 소프트뱅크(회장 손정의)가 사들였다.

중국 항저우에 위치한 로봇 스타트업 기업인 ‘유니트리 로보틱스’도 스팟미니와 비슷한 4족 보행의 로봇 ‘라이카고’를 공개했다. 스팟미니의 가격이 2억 원 안팎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비슷한 기능을 가진 라이카고는 3000만 원대에 팔릴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로봇 분야에서도 중국이 ‘가성비’를 앞세워 미국을 추격하고 있는 셈이다.
○ 자동차업계도 로봇산업 속으로
포드가 자율주행차와 연동된 로봇을 공개한 것처럼 글로벌 자동차업계도 물류 분야에서의 무인화에 적극 뛰어들고 있다. 단순히 사람을 이동시키는 ‘모빌리티 서비스’를 넘어 사람과 물건을 모두 이동시키는 ‘수송 서비스’로 사업 범위를 확대하겠다는 포석이다.

현대자동차도 4족의 바퀴다리를 장착한 ‘엘리베이트’를 공개했다. 산악 지형이나 높은 계단 등 접근이 어려운 곳에 바퀴다리로 걸어 올라갈 수 있어 수색 및 구조 등에 특화됐다. 네이버 계열사인 네이버랩스도 퀄컴과 함께 세계 최초로 5세대(5G) 통신망과 연결된 ‘브레인리스 로봇’ 시연에 성공한 바 있다. 로봇의 뇌인 고성능 컴퓨터를 외부 데이터 센터인 클라우드로 대체하고 이를 5G 통신으로 연결해 작동시키겠다는 것이다.
로봇산업에서도 이를 구동하는 로봇운영체제(ROS)가 필요하다. 현재 이 분야에서 가장 앞선 기업은 아마존이다. 아마존의 클라우드 기업인 아마존웹서비스는 지난해 말 자사의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로봇을 작동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로보메이커’를 공개하기도 했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스마트폰에서 구글이 운영 프로그램인 안드로이드를 만든 것처럼 아마존이 로보메이커를 통해 시장 선점에 들어갔다”며 “로봇산업의 성장을 따라가면서도 사라지는 일자리에 대한 고민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세진 기자 mint4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