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미 무역대표부(USTR)는 11일(현지 시간) 외국에서 건조된 자동차 운반선의 미국 내 입항 수수료를 순톤수(여객 화물에 사용되는 공간 용적)당 46달러(약 6만6010원)로 확정했다. 앞서 USTR은 4월 CEU(자동차 1대 분량의 공간 단위)당 150달러로 제안했던 것을 6월 순톤수당 14달러로 낮추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를 다시 3배 수준으로 인상한 것이다.
게다가 미국 정부는 자동차 운반선 수수료 부과 대상을 중국으로 한정하지 않고 외국에서 건조한 모든 선박으로 확대했다. 한국 정부가 7월 “입항 수수료 부과를 원래 겨냥한 국가로 제한해 달라”며 수수료 부과를 중국산 운반선에 한정할 것을 우회적으로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당장 중국도 14일부터 미국 선박에 t당 400위안(약 8만 원)의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고 희토류 수출 규제를 강화하며 맞대응에 나섰다. 이렇게 미중 갈등이 재점화되면서 한국 해운과 자동차 산업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내 최대 자동차 운반선사인 현대글로비스의 타격이 일단 불가피하다. 올 2분기(4∼6월) 기준 현대글로비스는 96척(자사선 35척, 용선 61척)의 자동차 운반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중 30여 척을 미국 항로에 투입하고 있다. 순톤수 1만9322t인 7000CEU급 선박 기준으로 1회 입항 시 약 12억7000만 원의 수수료가 부과된다. USTR이 한국 정부의 요청을 일부 받아들여 선박당 부과 횟수를 연간 5회로 제한했지만, 그래도 선박당 64억 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현대글로비스가 지난해 한국에서 미국으로 160회 이상 운항한 점을 고려하면 연간 수백억 원에서 많게는 수천억 원까지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이는 한국 자동차 업계의 수출 경쟁력 약화로도 이어질 수 있다. 현대자동차·기아 등 한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일본, 유럽연합(EU) 등 경쟁국보다 높은 25%의 자동차 품목 관세를 부담하고 있는데, 여기에 물류비 상승까지 겹치기 때문이다.
한 재계 관계자는 “현대차그룹이 미국 현지 생산을 확대할 계획이지만 당분간 미국 수출 차량 및 부품의 운송 부담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미중 갈등이 격화되는 과정에서 동맹국인 한국이 유탄을 맞게 된 형국”이라고 말했다.
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






![[신차 시승기]길 위의 맹수, 두 얼굴 가진 그랜드 투어러](https://dimg.donga.com/a/300/190/90/1/wps/EVLOUNGE/IMAGE/2025/08/23/132239736.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