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10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4년 세계 자동차 생산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자동차 생산은 전년 대비 0.5% 감소한 9395만 대에 그쳤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급감한 2020년(-15.4%·전년 대비) 이후 처음으로 감소한 것이다.
도요타, 혼다 등 일부 업체의 품질 인증 부정 문제로 인한 일본의 생산 부진(-8.5%)이 감소 폭을 키웠다. 태국(-20.0%), 한국(-2.7%), 스페인(-3.0%) 등도 생산이 줄어들었다.
국가별로는 중국, 미국, 일본, 인도가 4년 연속 상위 4개국 자리를 유지했다. 이들 4개국의 생산은 글로벌 전체 자동차 생산의 59.7%를 차지했다. 그다음은 독일, 멕시코, 한국 순이었다.
중국은 정부 주도의 내수 진작책과 수출 장려 정책이 연계되면서 전년 대비 3.7% 증가한 3128만 대를 생산해 16년 연속 1위를 수성했다. 미국은 내수 판매 증가에도 불구하고 제조업체들이 재고 관리에 집중하면서 생산은 0.7% 감소한 1056만 대를 기록했다.
일본은 품질 인증 부정 취득 문제와 자연재해로 인한 생산 중단 여파로 전년 대비 8.5% 감소한 824만 대를 생산했다. 인도는 내수 판매와 수출이 견고한 동반 성장세를 보이며 전년 대비 2.9% 증가한 601만 대를 생산했다.
국내 자동차 생산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413만 대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수출이 278만 대로 0.6% 증가했지만 내수 판매가 163만 대로 6.5% 감소해 2013년 이후 최저치를 찍었다. 이에 따라 2023년 글로벌 6위였던 한국의 생산 순위는 지난해 멕시코에 밀려 7위로 1계단 하락했다.
KAMA는 한국의 자동차 산업이 내수 한계와 글로벌 경쟁 심화 등 대내외적 도전 과제에 직면해 산업 기반이 위협받고 있다고 진단했다. 국내 자동차 시장은 잠재 수요가 적은 한계를 갖고 있어 올해 내수가 회복세를 보이더라도 생산 확대 효과는 제한적이다.
중국 자동차 업체의 글로벌 시장 지배력 강화와 미국의 수입산 자동차 관세 부과 가능성은 한국 기업의 수출 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특히 미국의 관세로 국내 완성차 업계가 해외 생산 및 투자 확대를 가속할 것으로 KAMA는 내다봤다. 자동차 산업의 전후방 연쇄효과를 감안할 때 국가 제조업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KAMA 관계자는 “국내 생산 규모 유지 및 확대라는 명확한 목표 아래, 글로벌 선진국들과 대등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미래차 생산 및 설비 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 확대,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위한 내수 진작책 등을 담은 가칭 ‘국내생산촉진세제’ 도입을 제언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