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배터리 급성장 최대 수혜 韓…골드만삭스 “수출 연평균 33% 증가”

뉴스1
입력 2023-05-08 09:39:00업데이트 2023-05-30 13:50:39
오창 에너지플랜트 전경. LG에너지솔루션 제공오창 에너지플랜트 전경. LG에너지솔루션 제공
한국 배터리 제품의 수출이 2030년까지 연간 33%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배터리 산업 성장으로 한국의 실질 GDP(국내총생산) 성장은 0.3%, 수출은 연간 2.5%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골드만삭스는 8일 ‘한국의 전기 자동차 공급망 확장의 거시적 시사점(Meaningful Macro Implications of Korea’s Expanding EV Supply Chains)‘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전기 자동차(EV)의 글로벌 수요 증가 혜택을 한국이 누릴 것으로 봤다. 골드만삭스는 “한국은 중국 이외의 지속적인 생산 능력 확장, 기술적 우위, 미국 세액공제 자격을 고려할 때 새로운 추세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중국 이외의 한국의 EV 공급망의 지속적인 확장과 미국의 전기 자동차로의 급속한 전환에 따라 보수적인 가정 하에서 2030년까지 한국의 대미 총 수출이 중국을 넘어설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한국전지산업협회는 최근 미국 세액공제 대상 전기차 22대 중 17대가 국내 주요 배터리 기업이 생산하는 재생가능 배터리를 사용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로 인해 한국 경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골드만삭스는 “한국 전기차 공급망의 급속한 확장으로 인해 한국의 실질 GDP 성장률은 향후 5년간 연간 0.3%, 수출은 연간 2.5%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골드만삭스는 미국과 유럽에서 재생 배터리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급격히 증가해 2030년까지 연평균성장률(CAGR) 기준으로 각각 33%와 28%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중국은 2030년까지 11%로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골드만삭스는 “미국과 유럽의 수요 급증의 상당 부분은 중국 이외 지역의 생산에 의해 충족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