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승차는 토요타 아쿠아 라인업 중 외관 및 실내사양을 도시 감각에 맞게 역동적으로 꾸민 ‘X어반’차량으로 일반 아쿠아(37.0km/ℓ)에 비해 공차중량 및 타이어의 영향으로 연비가 조금 낮다.
아쿠아는 토요타가 지난 2011년 12월 출시한 하이브리드 전용차량으로 북미 및 유럽에서 ‘프리우스 C’로 판매된다. 프리우스, 프리우스V, 프리우스PHEV 중에서도 가장 경제적인 차량으로 꼽히는 이 차량은 프리우스 라인업 중 가장 작은 차체와 낮은 가격으로 경차를 선호하는 일본 내에서 특히 인기다. 지난달 일본 내 신차 판매를 살펴보면 총 267만6634대가 팔렸고, 이 중 아쿠아가 1만8087대로 당당히 1위를 차지했다.

전조등은 부메랑 형태로 날렵하게 디자인되고 하나의 광원으로 하향등과 상향등을 조정하는 바이빔 LED램프를 적용했다. 전면 그릴은 사다리꼴로 좌우측 안개등과 함께 공격적인 모습이다. 후면은 세로형 후미등을 적용해 넓은 느낌을 강조하고 방향지시등에 도금장식을 더했다.
해치백 형태의 차체는 기존 프리우스 대비 전장×전고×전폭이 각각 485mm, 46mm, 51mm(미국 모델 기준) 작아져 민첩성과 함께 콘셉트에 맞게 도시 이동에 최적화됐다. 또한 프리우스 라인업의 특성상 공기역학 성능을 고려해 공기저항계수 역시 0.28을 달성했다.

무게 중심을 낮추고 차량 균형을 좋게 하기 위해 콤팩트한 가솔린 엔진과 파워 컨트롤 유닛 등을 적절히 배치했다. 또한 하이브리드 배터리와 연료탱크를 뒷좌석 아래 위치시켜 차체크기에 비해 조금 여유로운 889mm의 뒷좌석 레그룸을 확보하기도 했다. 이전 세대에 비해 스폿 용접을 강화해 차체 강성을 높이며 안전성도 향상됐다.
파워트레인은 74마력 1.5리터 4기통 가솔린 엔진과 45kw의 전기모터를 탑재됐다. 이들의 합산 출력은 최대 99마력이고, 하이브리드 모델인 만큼 변속 충격이 없는 CVT 무단변속기와 맞물렸다.

전반적으로 실내는 그동안 봐왔던 프리우스의 것을 대칭해서 보는듯한 디자인이다. 다만 다른 부분이 있다면 변속기 레버가 일반 차량의 것과 같은 스틱 방식이다. 오락실 조이스틱을 닮은 프리우스 레버보다는 친근감이 느껴진다.
작은 차제와 낮은 차량 무게 덕분에 EV모드는 프리우스 보다 효율적이다. 가속감 역시 ‘윙윙윙’하는 전기모터의 간헐적인 소음만 들릴 뿐 부족함이 없다. 무엇보다 좌우측으로 굽이치는 산악도로에서 쫄깃하게 느껴지는 핸들링이 일품이다. 조금 더 고출력 차량으로 오르막과 내리막을 질주하고 싶은 욕망도 있었지만 아쿠아의 작은 차체가 커브길에서 큰 장점을 발휘했다.
아쿠아는 약 40km/h까지 가솔린 엔진 없이 일반도로를 EV모드로 달릴 수 있다. 다만 언덕길과 고속주행에선 다소 힘에 겨운 몸짓을 느낄 수 있다. 가솔린 엔진이 개입하면 실내로 엔진음이 유입되며 소음에 조금 더 민감해진다. 하지만 국내도로와 달리 저속 주행이 주류를 이루는 일본도로의 풍경에선 부족함이 없었다.

한편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토요타는 국내 수입차 시장이 개성과 실용성을 중시하는 A, B 세그먼트로 트랜드가 변함에 따라 아쿠아의 국내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국토요타는 프리우스 라인업을 완성시킴과 동시에 국내 하이브리드 점유율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가나자와=김훈기 동아닷컴 기자 hoon149@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