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냉각수로 사용할 수 없는 물도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잘못 보충하면 자칫 차량의 냉각 계통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보쉬 자동차부품 애프터마켓 사업부가 자세히 알아봤다.
우선, 냉각수의 대용으로는 수돗물을 사용하면 된다. 반면 하천물이나 우물물 등의 지하수는 산이나 염분을 포함하고 있어 냉각 계통을 부식시키고, 엔진 과열 현상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또한 마트나 편의점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생수 역시 미네랄 성분이 냉각수가 지나다니는 통로나 워터펌프를 부식시킬 수 있어 냉각수로서 적합하지 않다.
냉각수의 교환 주기는 일반 부동액의 경우 약 2년 또는 주행거리 기준 4만km이며, 분홍색의 Dex-Cool(GM차종 냉각수)및 노란색의 Universal ELC(유럽 자동차 냉각수)는 약 5년 또는 주행거리 기준 24만km이다.
냉각수는 오래 사용하면 라디에이터를 부식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오염도를 점검해 교환 주기에 따라 교체해준다. 주기적으로 관리를 철저히 하여 녹물, 부식, 기타 오염 등을 사전에 예방하도록 한다.
춘천 보쉬카서비스(BCS) 오토서비스의 조규성 대표는 "가을을 앞두고 냉각수 관리에 더욱 철저해야 한다"고 전하며, "물은 연성을 넣어야 하며 불순물이 있으면 녹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냉각수 교환 시에는 엔진 속의 노폐물을 제거해 주는 엔진 플러싱도 함께 해 주는 것이 좋다" 고 밝혔다.
- 포르쉐, 시크한 럭셔리\'블랙 에디션\' 출시
- 모듈로 완성되는 좋고 안전한 자동차
- 수 백 억짜리 정부 용역에 발표는 딱 10분
- 스티브 맥퀸이 사랑한 포르쉐의 경매가는
- 쏘나타, 내수차 수출차 에어백 다 터졌다.
<저작권자 ⓒ 오토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