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M은 차세대 전기차 \'쉐보레 볼트 EV\'를 개발하기 위해 기존 자동차 부품회사가 아닌 IT 기업 LG전자를 택했다. GM은 장거리 주행이 가능하면서도 합리적 가격의 전기차를 상용화하기 위해서 혁신적인 파트너십이 필요했다.
GM은 차세대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고자 GM이 보유한 전기 모터 설계, 배터리 제어 기술, 자동차 시스템 검증 능력을 기반으로, 배터리 시스템과 인포테인먼트 분야 등에서 LG전자를 파트너로 선정한 것이다.
LG전자는 GM과 공동 기획과 연구를 통해 지난 1월 디트로이트 모터쇼에서 \'쉐보레 볼트 EV\' 컨셉트를 공개한 바 있다. GM은 2016년 말부터 미국 미시간 주 오리온 공장에서 \'쉐보레 볼트 EV\'를 양산할 계획이다.
양사는 한번 충전으로 320km 이상 주행 가능하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의 전기차를 고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쉐보레 볼트 EV\'를 공동 개발하기로 합의했다. LG전자는 \'쉐보레 볼트 EV\'에 핵심부품과 시스템 11종을 공급할 예정이다.
GM 글로벌 제품개발 및 구매 총괄 마크 로이스 부사장은 "GM은 전기차 분야에서 리더십을 공고히 하기 위해 파괴적 혁신이 필요했다"며, "쉐보레 볼트와 스파크 EV에서 구축한 GM 기술력과 LG의 경험을 살려 그동안 고객들이 접할 수 없었던 장거리 운행이 가능한 전기차를 합리적 가격으로 상용화하겠다"고 강조했다.
LG전자 VC사업본부 이우종 사장은 "GM의 전기차 개발 파트너로 선정된 것을 계기로 미래 자동차의 핵심부품 개발사로 발돋움 할 수 있을 것"이라며, "GM과 협력을 발판으로 IT 기업인 LG전자가 전기차 시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LG전자와 GM은 2007년부터 공고한 파트너십을 이어 오고 있다. LG전자는 GM의 4G LTE 텔레매틱스 시스템인 \'온스타\'에 차량용 통신 모듈을 공동 개발해 독점 공급하고 있다.
- 현대기아차, 美 품질 신뢰도 최고..첫 동반 10위권 진입
- 완벽한 변신, 혼다 올 뉴 파일럿’ 벌써 100대
- 英 소비자 61%, 연비 좋은 디젤차 사겠다
- 야외 활동에 최적, 투싼 어드벤처모바일 세마쇼 공개
- 도요타, 대담한 컬러 콤보 페르소나 스페셜 에디션
<저작권자 ⓒ 오토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