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자동차가 지난해 판매량 기준으로 세계 5위 자리를 유지했다.
11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완성차 상위 5개 업체의 전체 판매량은 4643만 대로 전년(4676만 대)에 비해 33만 대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 순위는 도요타가 1015만 대로 1위다. 이어 폴크스바겐(993만 대), GM(984만 대), 르노·닛산연합(849만 대), 현대·기아차(802만 대) 순이다.
도요타, 폴크스바겐, GM은 지난해 판매량이 전년 대비 각각 0.8%, 2.1%, 0.8%가 줄었으나 현대·기아차와 르노닛산은 0.2% 증가했다. 도요타는 동남아 시장에서의 부진 등으로 전년에 비해 판매량이 13만 대 감소했다. 폴크스바겐은 지난해 상반기 도요타를 제치고 1위로 올라서기도 했으나 디젤차량의 배출가스 저감장치 조작 파문으로 판매량이 전년보다 21만 대 줄었다. 중국, 브라질, 러시아 등 신흥국 자동차 수요가 감소하면서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의 판매도 감소한 것이다.
반면 현대·기아차의 판매량은 전년보다 2만 대 증가했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글로벌 생산망 구축, 현지 전략 차종 출시 등이 힘을 발휘했다”고 말했다.
박은서 기자 clue@donga.com
11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완성차 상위 5개 업체의 전체 판매량은 4643만 대로 전년(4676만 대)에 비해 33만 대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 순위는 도요타가 1015만 대로 1위다. 이어 폴크스바겐(993만 대), GM(984만 대), 르노·닛산연합(849만 대), 현대·기아차(802만 대) 순이다.
도요타, 폴크스바겐, GM은 지난해 판매량이 전년 대비 각각 0.8%, 2.1%, 0.8%가 줄었으나 현대·기아차와 르노닛산은 0.2% 증가했다. 도요타는 동남아 시장에서의 부진 등으로 전년에 비해 판매량이 13만 대 감소했다. 폴크스바겐은 지난해 상반기 도요타를 제치고 1위로 올라서기도 했으나 디젤차량의 배출가스 저감장치 조작 파문으로 판매량이 전년보다 21만 대 줄었다. 중국, 브라질, 러시아 등 신흥국 자동차 수요가 감소하면서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의 판매도 감소한 것이다.
반면 현대·기아차의 판매량은 전년보다 2만 대 증가했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글로벌 생산망 구축, 현지 전략 차종 출시 등이 힘을 발휘했다”고 말했다.
박은서 기자 clu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