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신차 판매는 7월에서 9월 사이에 소비자 수요가 여전히 강세를 보이면서 16.3% 증가했다. 이는 신차 구입을 위한 대출금리가 7.4%나 되고 판매 차량의 평균 가격이 4만5500 달러 (6,192만 5,500 원)가 넘는 상황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편이다.
자동차의 공급은 코로나 19 팬데믹 기간중에 시작된 컴퓨터 반도체 등 여러 부품의 부족이 최근 수그러들면서 지속적으로 회복되고 있다.
자동차 소비가 늘어나면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차량을 구입하고 있으며, 월 평균소득이 736달러(100만1,696 원)밖에 안되는데도 구입량이 증가했다.
자동차 전문 웹사이트 에드먼즈 닷컴의 이반 드루리 조사국장은 “지금의 자동차 구입은 100%가 노후차 교체와 실수요자 의 매입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자동차 수요는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되면서 더 늘어났지만 많은 사람들은 금리가 더 내리고 공급량이 더 늘어나 가격이 낮아질 것을 기대하면서 구입을 미뤄왔다. 하지만 연방준비은행이 금리를 올리기 시작하면서 더 이상 기다릴 수 없게 되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불행하게도 일부 소비자들은 이제 당장 급한 불을 끄기 위해 신차를 구입할 수 밖에 없도록 내몰리고 있다. 갖고 있던 기존 차량의 변속기가 고장 나는 등 문제가 연발하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드루리는 말했다.
미 자동차제조사들이 7월에서 9월까지 판매한 자동차는 400만대에 이른다고 모터 인텔리전스 닷컴도 발표했다.
판매고는 GM이 21.2% 증가했고 토요타가 12.2%, 혼다가 52.7%, 니산이 40.8% 늘어났다.
현대차 판매고는 비교적 적은 10.2%, 기아는 13.8% 증가한 것으로 보도되었다.
하지만 가솔린차량을 퇴출시키기 시작한 스텔란티스의 판매고는 1.3%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포드는 4일 늦게 판매량을 발표할 예정이고 테슬라는 2일 전세계의 판매고를 발표하면서 미국내의 판매가 19.5% 증가한 것으로 발표했다.
전기차의 약진도 주목된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전년 대비 50.9%가 증가해 미국 전체의 자동차 수요량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율을 7.5%까지 끌어 올렸다. 미국 소비자들이 1~9월 사이에 매입한 전기차의 수는 무려 87만 5798대에 달한다.
자동차 전문가들은 최근 GM과 스텔란티스, 포드사를 대상으로 자동차 연합노조(UAW)가 파업을 벌인 것도 차량 판매고에는 별 타격을 주지 못했다고 말한다.
9월 하반기에 진행된 그 파업은 대형 차 조립공장 세 곳과 일부 차량 모델의 생산 라인에만 국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전체적인 영향력은 적었다는 분석이다.
[디트로이트(미 미시간주) =AP/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