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아는 미국 프로농구(NBA) 플레이오프 개막에 앞서 차량 내 계기반과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할 수 있는 NBA 각 구단 ‘디스플레이 테마(Display Themes)’ 디자인 30종을 북미시장에서 선보였다고 19일 밝혔다.
디스플레이 테마는 개인화된 모빌리티 경험을 지원하는 맞춤형 서비스로 클러스터와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색상 및 그래픽, 시동을 켜고 끌 때 나오는 애니메이션 등을 취향에 맞춰 변경할 수 있는 서비스라고 소개했다.
운전자는 ‘기아 커넥트스토어’나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 Over-the-air) 기능을 통해 선호하는 NBA 구단의 디스플레이 테마를 구매하고 차량 내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다. 가격은 각 팀 테마당 39.99달러(약 5만5300원)로 책정했다.

기아 디스플레이 테마 서비스를 통해 현대차그룹이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전환에 많은 공을 들이는 이유도 짐작할 수 있다. 기존 신차 판매 수익과 판매 후 이뤄지는 AS 관련 수익에 더해 SDA 전환에 따른 소프트웨어 상품 수익도 기대할 수 있다. 다양한 소프트웨어 기능을 정기 구독이나 연간 이용권 등으로 판매해 차를 판매한 이후에도 부가적인 수익을 거둘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업모델은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가장 먼저 대중화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테슬라는 거의 모든 구동계까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유지·보수가 가능한 수준으로 불가피한 리콜 사유가 발생하더라도 소프트웨어 무선 업데이트로 문제를 해소한다. 유지·보수를 위한 불필요한 비용 발생과 자원 소모까지 줄일 수 있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센터에 직접 방문할 필요가 없어 편리한 셈이다.

파블로 마르티네즈(Pablo Martinez) 기아 CXD사업부 상무는 “디스플레이 테마 출시로 고객이 취향에 맞춰 차를 개성 있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게 됐다”며 “더욱 다양한 테마와 혁신적인 브랜드 협업, 선도적인 디지털 사양 등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민범 동아닷컴 기자 mbki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