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전기차 살 때 울릉도 가라”…1000만원 더 싼 이유는?

뉴시스(신문)
입력 2025-02-03 17:00:00업데이트 2025-02-03 17:00:55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수입차 업계가 수요 침체에 따른 전기차 할인 경쟁에 돌입한다. 온라인 신차 구매 플랫폼 겟차에 따르면 메르세데스-벤츠의 대형 전기 세단 모델인 ‘EQS 450 4MATIC’은 보조금과 금융 할인을 이용하면 원래 가격(1억9000만원)보다 4000만원가량 싸게 살 수 있다. BMW 5시리즈의 첫 전기차 모델 i5도 이달 현재 트림별로 최소 1450만원에서 최대 1950만원까지 할인이 적용되고 있다. 폭스바겐은 중형 전기 SUV ID.4 프로 라이트 모델 가격을 최근 기존 5690만원에서 200만원 인하했다. 22일 서울 시내 한 건물 주차장에 테슬라가 주차되어 있다. 2024.02.22. xconfind@newsis.com[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수입차 업계가 수요 침체에 따른 전기차 할인 경쟁에 돌입한다. 온라인 신차 구매 플랫폼 겟차에 따르면 메르세데스-벤츠의 대형 전기 세단 모델인 ‘EQS 450 4MATIC’은 보조금과 금융 할인을 이용하면 원래 가격(1억9000만원)보다 4000만원가량 싸게 살 수 있다. BMW 5시리즈의 첫 전기차 모델 i5도 이달 현재 트림별로 최소 1450만원에서 최대 1950만원까지 할인이 적용되고 있다. 폭스바겐은 중형 전기 SUV ID.4 프로 라이트 모델 가격을 최근 기존 5690만원에서 200만원 인하했다. 22일 서울 시내 한 건물 주차장에 테슬라가 주차되어 있다. 2024.02.22. xconfind@newsis.com
올해 정부가 책정한 전기차 보조금이 지방자치단체별로 크게 차이 나면서, 똑같은 차량이라도 지자체에 따라 실제 구매가격이 1000만원 이상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환경부의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 따르면 올해 평균 전기차 보조금(국비 포함)이 가장 많은 지자체는 경북 울릉군으로 1665만원이다. 경남 합천군과 전남 보성군도 각각 1490만원, 1430만원으로 보조금이 높은 편이다.

전국 5대 도시 중에서는 광주가 910만원으로 가장 많으며, 부산 855만원, 대구 380만원, 인천 810만원 순이다. 서울은 640만원으로 가장 적다.

이에 따른 서울과 울릉군의 보조금 격차는 1025만원에 달한다. 똑같은 전기차라도 울릉군에서 사면 서울보다 1000만원 이상 싸게 살 수 있다는 얘기다.

서울 보조금은 경기에서 가장 많은 보조금을 주는 파주시(1064만원)보다 424만원이 더 적다. 전기차를 살 때 서울보다는 인근 내륙 소도시나 수도권 다른 지역에서 등록하는 것이 유리한 셈이다.

실제 현대차 ‘아이오닉 6 롱레인지 2WD 18인치’ 모델은 울릉군 기준 국비와 지방비를 통틀어 모두 1700만원의 보조금을 받는다. 반면 서울은 640만원에 불과하다. 똑같은 차량이지만 울릉군에서는 3000만원 초반에, 서울에서는 4300만원 이상을 줘야 살 수 있는 것이다.

기아 ‘EV6 롱레인지 2WD 19인치 모델’도 합천군에서는 1520만원 보조금을 받아 3400만원 정도에 살 수 있지만, 보조금이 적은 다른 지자체에서는 4000만원을 넘게 줘야 한다.

수입차 중에서도 전기차 판매 1위인 테슬라의 모델Y 퍼포먼스 모델의 경우, 합천에서는 492만원 보조금을 받지만 경기 오산이나 전북 남원에서는 191만원에 불과하다.

이처럼 지역별로 전기차 보조금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지자체마다 예산과 취득·등록세 수입 규모 등을 고려해 보조금을 책정하기 때문이다. 일부 소도시는 전기차 충전소나 수리 등 인프라가 부족해,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편으로 보조금을 더 주기도 한다.

전기차 보조금 대상 대수에서도 차이가 난다. 서울에서는 올해 모두 4000대에 보조금을 주지만, 합천군은 188대에 불과하다. 대당 보조금은 적지만, 훨씬 많은 수요자가 보조금 혜택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지자체별 보조금 차이로 많은 소비자들이 동일한 차량을 더 높은 가격에 사야 하는 불이익을 받고 있다고 지적한다. 차량 구매자가 더 많은 보조금을 받기 위해 다른 지역으로 원정 구입을 가는 행태도 계속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보조금은 친환경 차 보급 확대를 위한 중요한 지원책이지만, 지금처럼 지자체별로 차이가 크다면 공정성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며 “보조금 책정 기준을 중앙정부에서 조정하고, 전국적인 형평성을 고려해 보조금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